단축키/조작
alt + 마우스 휠: 화면 각도 조절
오브젝트 오른쪽 클릭: isolate selection : 선택한 오브젝트만 화면에 보이게 함
오브젝트 오른쪽 클릭: end isolate : 위 상태 끝내고 원상태로 돌아옴
오브젝트 생성 시 ctrl+드래그: 선택한 지점을 중심으로 오브젝트 생성
선택한 viewport 확대/축소: alt+w
viewport 중앙 정렬: z
피봇 크기 조절: +/-
Move: x
Rotate: r
Scale: e
: 선택한 오브젝트를 중심에 두도록 화면 이동
축
view: 선택한 화면을 기준으로 x/y/z축 표시
world: 3d max가 기본적으로 가진 world를 기준으로 축 표시
Local: 오브젝트가 가진 축을 기준으로 표시
: 오브젝트가 가진 고유 피봇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둔다.
: 선택한 오브젝트 전체 외형의 중심을 기준으로 둔다.
: 피봇의 축을 오브젝트가 아닌, view 혹은 world의 중심을 기준으로 둔다. 회전할 때 매우 중요
-> 축 부분은 아직 헷갈림. 뭐가 어떻게 차이가 나고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써야하는지...모델링 작업하면서 직접 감 익혀가야 할 듯.
클론
copy: 원본과 분리된 독립된 개체 생성
instance: 원본과 속성을 같이함. 어느쪽이 수정되어도 그 옵션을 공유하게 됨.
모디파이의 'make unique' 버튼으로 인스턴스 연결을 끊어줄 수 있음
*특정 오브젝트에 모디파이어를 추가하면 인스턴스 관계 끊김. 그러니 인스턴스 복사를 해주기 전에 필요한 모디파이어는 원본에 미리 적용해둘 것 (에디터블 폴리 같은)
reference: 원본을 참조해서 상호작용하는 것을 전제로 함. (옵션을 공유, 상호작용 하는 부분 - 인스턴스와 같음)
모디파이 작업에 들어갔을 때 인스턴스와 차이를 보임. 원본 모디파이 수정/추가 작업을 했을 때, 복사된 개체도 같이 수정 됨 / 복사된 개체에 추가적인 모디파이 작업을 했을 때, 원본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...
오브젝트 관리
set :
group
layer :
세 가지 방법으로 다수의 오브젝트를 분류, 관리
~59p
7/6: 에디터블 폴리 모델링, 모디파이어 부분
'공부/작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2019.07.28) 3D 3주차 (0) | 2019.07.24 |
---|---|
(2019.07.20) 호러 워크샵 5강 (0) | 2019.07.22 |
(2019.07.21) 3D 2주차_문양 작업 (0) | 2019.07.21 |
(2017.07.06) 호러 워크샵 2강 (0) | 2019.07.07 |
(2017.07.07) 3D_1주차 (0) | 2019.07.07 |